동향
동향 내용
“제약회사 주도 임상연구 한계 많아”
분류 임상연구, CT, 제약 조회 7374
발행년도 등록일 2015-07-02
출처 헬스코리아뉴스 (바로가기)
제약회사 등 개별 기업들이 주도하는 임상연구는 실제 임상현장에 필요한 부분의 30%만 만족하기 때문에 공익적 임상연구에 대한 국가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박덕우 교수는 최근 ‘공감 NECA’에 기고한 글을 통해 “공익적 임상연구 수행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전문가 집단의 관심 및 확대된 국가 연구비 지원이 매우 필요한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박 교수에 따르면 임상연구의 많은 부분이 대규모의 제약회사 및 의료기기 회사의 연구자금을 통해 이뤄지고 있지만, 이런 연구들은 자금을 제공한 회사의 이익에 부합되는 연구를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임상들은 실제 임상 현장의 환자 진단 및 치료에 필요한 부분을 미충족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제약회사 및 의료기기 회사의 직접적인 이익과 관련이 없다보니 실제로 필요한 많은 부분의 임상이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박 교수는 “지난 10여년 동안 다양한 심장질환분야의 지침을 마련하는데 있어서 충분히 근거가 될만한 무작위 임상연구가 존재하는 경우는 대부분 30% 미만이었다”며 “이는 실제로 임상에서 ‘unmet needs’(충족 필요성)가 얼마나 많은지를 간접적으로 시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최근 협심증의 진단에 있어 관상동맥 CT의 사용이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지만, 정작 해부학적 협착 정도를 평가하는 관상동맥 CT가 기존에 기능적 협착유무를 평가하는 심장부하검사보다 주요 심장 사건을 얼마나 줄이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하지만 CT기기 회사들은 이런 부분의 임상까지는 지원하지 않고 있다. 기업의 이익에 반하는 연구를 진행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미국은 공익적 연구를 강화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미국에서 진행된 PROMISE Trial(프라미스 트라이얼) 프로젝트다. 1만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 임상연구를 진행한 이 프로젝트는 자금의 100%를 미국 국립보건원이 운영하는 NHLBI(the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에서 지원했다.
 
위의 예를 비롯해 미국은 전체 바이오메디칼 연구분야에 투입되는 자금 중 국가나 공공기관에서 지원하는 비중이 약 40%에 달한다.
 
반면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연구지원이 기초연구, 중계연구 및 플랫폼 지원 사업 중심으로 되어 있으며 임상근거 마련을 위한 공익적 임상연구에 대한 연구비 지원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후략)
 
첨부파일 파일첨부144587_131584_420.jpg 다운로드수 0

목록



[추천 메일 발송]
추천 메일 발송
받는 분 이메일 @
추천인
리스트 이전글과 다음글
이전글이전글 Drug Discovery at the Single Molecule Level: Inhibition-in-Solution Assay of Membrane-Reconstituted β-Secretase Using Single-Molecule Imaging.
다음글다음글 곤충, 화장품·의약품 소재로 뜬다